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전국여행정보

TROUCOUPON

전국여행정보

테마별선택
  • Home
  • 관광지
  • 문화시설
  • 행사공연축제
  • 여행코스
  • 레포츠
  • 숙박
  • 쇼핑
  • 음식점
시도선택
  • 서울

  • 인천

  • 대전

  • 대구

  • 광주

  • 부산

  • 울산

  • 세종특별자치시

  •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제주도

지역선택
  • 강진군
  • 고흥군
  • 곡성군
  • 광양시
  • 구례군
  • 나주시
  • 담양군
  • 목포시
  • 무안군
  • 보성군
  • 순천시
  • 신안군
  • 여수시
  • 영광군
  • 영암군
  • 완도군
  • 장성군
  • 장흥군
  • 진도군
  • 함평군
  • 해남군
  • 화순군

    거차뻘배마을

  • 거차뻘배마을
    거차뻘배 체험장은 2헥타르(ha)의 넓은 공유수면에서 뻘배타기, 꼬막캐기, 칠게잡기, 짱뚱어잡기, 갯벌미끄럼틀타기 등 다양한 갯벌생태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대표체험은 뻘배타기로, 한쪽 무릎을 꿇고 뻘배에 앉아서 다른쪽 다리로 갯벌을 박차고 나가 미끄러지듯 질주하며 칠게, 조개 등을 캐는 것이다. 양손은 뻘배를 부여잡는다. 뻘배는 어민들이 조개를 캐기 위해 이용하는 ‘널’을 체험용으로 제작한 것이다. 어민들이 사용하는 널은 멀리 나가서 조개를 캐기 위해 쉽게 갯벌을 이동할 수 있도록 훨씬 길고 폭이 좁다. 거차마을 갯벌은 뭍에서 멀리 나갈수록 칠게와 짱뚱어, 맛, 꼬막 순으로 서식하는 어패류가 다르다. 체험장 뒤로는 어민들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어장이기에 함부로 들어가서는 안 된다. 조개잡기 체험 등을 할 때는 인솔자의 안내에 따라야 어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갯벌체험복장으로 긴 소매, 긴 바지, 양말 또는 스타킹과 모자는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 겸천서원

  • 조유(趙瑜 1346~1428), 조숭문(趙崇文 ?~1456), 조철산(趙哲山 ?~1456) 등 옥천조씨 3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1706년(숙종 32) 호남 사림이 발의하고, 1711년(숙종 37) 건립한 사당이다. 그 후 언제부터인가 순천을 관향으로 하고, 단종 복위사건에 연루된 김종서(金宗瑞 1390~1453), 박중림(朴仲林 ?~1456), 박팽년(朴彭年 1417~1456)도 함께 모셨다.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20년 옛 터에 복원하였으며, 1955년 중건하였는데 이때 이름을 겸천서원(謙川書院)으로 정한 것으로 보인다. 1975년 한 차례 더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조유는 옥천 조씨 순천 입향조로, 고려 말에 전농시부정 벼슬까지 올랐으나 조선 왕조가 개창되자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여 순창에서 은거하였다. 조유의 둘째 아들 조숭문은 함경도병마절도사를 지냈으며, 사육신의 한 사람인 성삼문(成三問)의 고모부이기도 하다. 단종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죽음을 당했고, 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조숭문의 아들 조철산 역시 단종복위 사건으로인해 아버지와 함께 죽음을 맞았다.

  • 곡수서원

  • 조선 명종 때의 진사 정소(鄭沼)를 추모하고자 1712년(숙종 38)에 순천유림인 조구년(趙龜年)·유책(柳策)·임진상(林鎭商) 등이 발론하여, 정소의 형 정자(鄭滋)와 지우(知友)인 조대성(趙大成)을 함께 배향하는 사우로 정소의 유지인 청사헌 자리에 건립하였다. 처음 이름은 청사사(菁莎祠)라 하였다. 1868년의 서월철폐령으로 훼철되어 향사가 중단되었다가 1958년에 향교의 유림대표 조창렬(趙昶烈) 등과 연일 정씨 정운호 등 후손들이 협력하여 현 위치인 조례동에 사우를 재건하면서 이름을 곡수서원이라 개칭하였다.청사사우 때와는 달리 재건된 후에는 정소와 조대성만을 향사하고 있다.

  • 공마당둘레길

  • 공마당둘레길
    공마당 둘레길은 코스는 길지 않지만, 마을을 한 바퀴를 돌며, 전망대에서 순천 원도심을 내려다볼 수 있는 아담한 마을 둘레길이다. 마을 공동체와 공공 미술이 만나 순천 원도심의 매력에 듬뿍 빠질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골목 곳곳에 설치된 조형물과 벽화를 감상하며 걷는 길에는 문화의 거리, 순천창작예술촌, 순천향교 등 다양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곳들이 인접해 있어 쉬엄쉬엄 돌아보기에도 좋다.

  • 구례구역

  • 구례구역
    섬진강 건너에 위치해 있으며 여행객이 많이 이용하는 역이다. 역내 구례군관광안내소가 있어 알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레트로 하고 옛 정취를 느끼기에 좋으며 최근 예능 프로그램 윤스테이 촬영지로도 유명해 많은 사람들이방문한다. 전라선에 해당하는 구례구역은 1936년 12월 16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한국전쟁당시 역사를 소실하였다가 1957년 10월에 신축 준공하였다. 압록역과 봉덕역 사이에 있는 구례구역은 2013년 12월 부터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역은 순천에 위치하고 있으나 구례군으로 들어가는 길목이라는 의미로 구례구역으로 명명되었다. 구례구역에는 새마을호, 무궁화호, KTX,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한다.

  • /
1 2 3 4 5 > >>
  • 관광지  >  전라남도  >  순천시
  • http://api.visitkorea.or.kr 정보제공
  • mailto:master@tourcoup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