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월 강변저류지는 침수피해와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생태·문화 관광지로 구름다리, 홍보관과 같은 시설물과 생태공원, 자전거도로, 5.2km의 산책로도 조성되었다. 또한 캠핑장을 운영하여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생태 관광지이다.
영월군에서는 강변저류지를 주변의 다른 관광지인 청령포, 장릉과 연계해 관광할 수 있도록 하여, `왕의 정원'으로 조성하고 있다. 다양한 테마의 산책로와 자전거도로는 물이 흐르는 주변 경치를 구경하며 다니기에 좋다. 또한 생태수변공원과 캠핑장, 물놀이장 등 다양한 체험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온 가족이 여행하기에 좋다.
(출처 : 강원도청)
-
![강원 영월 김삿갓면 [슬로시티]](http://tong.visitkorea.or.kr/cms/resource/85/2026085_image2_1.jpg)
영월군은 산과 물, 계곡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곳입니다. 수려한 자연경관은 물론이며 어린 나이에 왕위를 빼앗기고 죽임을 당한 비운의 임금인 단종과 조선 후기 방랑 시인이자 천재 시인인 김삿갓의 발자취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고씨동굴 및 김삿갓 유적지 등 청정한 자연 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어 고즈넉함과 여유로움을 느끼기에 가장 최적화된 곳이다. 해학과 풍자의 시선 김삿갓의 시대 정신과 문화 예술혼을 추모하고 문학적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한 문화제도 매년 10월에 개최하는 등 다양한 문화자원도 두루 갖추고 있어 이러한 보존 가치를 대외적으로 인정받아 국제슬로시티로 지정되었다.
영월은 박물관 고을 특구입니다. 핵심콘텐츠 지역인 김삿갓면에만 자그마치 8개의 박물관이 있다. 박물관 고을 육성 사업을 통해서 지역 특성을 반영한 박물관을 유치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인재 육성 및 활용과 네트워크 구축, 테마 체험 프로그램 및 문화 상품 개발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서 가치를 찾아내고 있다. 별마로천문대, 난고김삿갓문학관, 영월 Y파크, 단종역사관, 동강사진박물관, 영월동굴생태관, 강원도탄광문학촌, 동강생태정보센터, 영월라디오스타박물관, 예술창작스튜디오 등 다양한 콘텐츠의 박물관이 운영되고 있다.
<출처 : 슬로시티>
-

과거 번성했던 석탄 산업과 탄광촌 광부들의 생활상을 재현한 박물관이다. [영월 마차리 탄광촌의 흔적]이라는 주제로 석탄 산업과 광부들의 집, 마차리의 옛모습을 실감나게 돌아 볼 수 있다. 실제 갱도의 입구 부분을 체험 전시관으로 만들어 광부 작업복 체험 같은 것도 해 볼 수 있다.
-

계족산은 영월읍 동쪽에 병풍을 친 듯 화성(火星)의 모습으로 수석처럼 우뚝 솟은 산이다. 백두대간 함백산에서 서쪽으로 가지를 친 한개의 능선이 두위봉, 망경대산, 응봉산을 거쳐 남한강에 막혀 더 이상 뻗지 못하고 지맥을 다하여 험준한 산세를 이루고 있으며, 산자락에는 고구려의 산성인 왕검성과 정조대왕태실비 등의 유적이 있으며, 영월화력발전처가 자리하고 있다.
영월읍에서 88번 지방도를 따라 승용차로 20분 거리인 정양리에 도착하면 영월화력발전처가 있으며 발전소 담장이 끝나는 곳에 계족산 산행 안내도가 서 있고,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콘크리트로 포장된 길을 따라 30m 정도 북쪽으로 걸어가면 정양마을이 나타나고, 가래골 골짜기 위로 계족산 정상부근이 한 눈에 들어오고 산새를 가늠하기 쉽다.
정양마을을 뒤로 하고 가래골 계곡 좌측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10여분 걸어가면 우측 아래로 10m 가량의 폭포가 나타난다. 폭포를 내려다보며 산길을 올라 15m 폭포 상단부에서 다시 왼쪽 계류를 건너게 된다. 고르지 못한 바위사면길을 밟으며 5~6분 정도 오르면 우측계곡에 2개의 폭포와 탕이 시야에 들어온다. 이곳의 폭포는 평소에 수량이 적은 것이 흠이다. 그러나 장마철에는 굉장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폭포와 탕을 뒤로하고 15m 정도 오르면 폐허된 묵밭이 나오고 집터가 나타난다. 집터샘에서 식수를 준비하고 10여 분 오르면 계족산 서남릉묘지가 있는 안부에 닿는다.
-

고고산은 영월군 중동면 연상리와 정선군 신동읍 고성리와 경계를 이루는 곳에 솟은 산으로 아름다운 미구(美九)마을을 품고 있다. 영월에서 석항방면 38번 국도를 따라가면 연하역을 못미쳐 철도밑으로 콘크리트 포장도로가 나오는데 이 길을 따라 다리를 건너면 복덕원 마을에 도착한다. 이 곳에서 골안으로 이어진 비포장 광산길을 따라 20여분 거리에 이르면 석회석 채광을 하였던 광산터에 도착한다.
광산터를 지나 작은 계곡 옆 북쪽으로 난 길을 따라 고도감을 높이면서 20여분 힘들 게 오르면 능선 안부에 이른다. 이 길을 넘어서면 길운 마을로 가는 길이고 좌측은 완택산으로 가는 등산로이다.
안부에서 동쪽 방면으로 난 길을 따라 작은 암봉을 올라서면 921봉이 뾰족하게 솟아 고고산으로 이어지는 주능선이 한 눈에 들어온다. 이 암봉에서 동쪽방면으로 내려서서 급경사길을 20여분 올라가면 동쪽사면이 절벽으로 이루어진 봉우리에 도착한다. 이 곳에서 좌측으로 암봉을 내려서서 절벽 밑을 우회하는 길을 따라 내려서면 입석같이 보이는 바위를 우회하여 조금은 힘들 게 20여분 올라서면 921봉에 도착한다.
921봉 동쪽으로 까마득한 절벽으로 이루어진 발아래 38번 국도와 연하천이 실날같이 내려 보인다. 921봉에서 북쪽방면으로 이어진 부드러운 능선길을 따라 30여분 가면 고고산 정상이다. 30여평 넓이의 헬기장으로 이루어진 정상은 사방나무가 가로막혀 조망이 좋지 않다. 하산길은 정상에서 동쪽 능선을 타고 잠시 벗어나면 암릉지대를 만난다.
이 암릉지대에서는 미구마을로 이어지는 능선에 헬기장이 내려보이고 목장의 초원지대로 이루어진 미구마을의 푸른 초원이 시야에 들어오고 , 멀리 고고산의 모산인 두위봉과 남쪽으로는 망경대산, 응봉산, 계족산으로 이루어지는 능선이 하늘금을 그리고 있다. 암릉지대를 벗어나 10여 분 내려서면 헬기장에 도착한다. 철쭉과 진달래나무가 군락을 이룬 능선을 따라 30여분 거리에 이르면 작은 돌탑이 서 있는 미구치에 당도한다. 미구치에서 남쪽으로난 길로 내려서면 목장지대가 나타나고 수레길을 따라 20여분 내려서면 미구마을 계곡에 도착하고 , 이 길을 따라 30여 분 내려오면 38번 국도와 만나는 미구계곡 초입이다.
/